알림
뒤로
알림 설정
뒤로
더보기
게시물 알림
내 글 반응
내가 작성한 게시물이나 댓글에 다른 사람이 댓글이나 답글을 작성하면 알려줍니다.
공지사항
사이트에서 보내는 중요한 공지를 실시간으로 알려줍니다.
Alarm
정보 수정
로그아웃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HOME
과신대 소개
비전
섬기는 사람들
프로그램 안내
오시는 길
교육
기초과정
핵심과정
중급과정
교사모임 - 청소년 캠프
연구
콜로퀴움
2020
2019
2018
2017
포럼
연구모임
과신뷰
월간 과신뷰
과신대 소식
과신대 사람들 (인터뷰)
과신대 칼럼
과신책
과신Q
Biologos 자료
북클럽
북클럽 안내
북클럽 이야기
과신Talk
미디어
공개 영상
정회원 전용 영상
카드뉴스
후원 안내
닫기
과학과 신학의 대화
HOME
과신대 소개
비전
섬기는 사람들
프로그램 안내
오시는 길
교육
기초과정
핵심과정
중급과정
교사모임 - 청소년 캠프
연구
콜로퀴움
2020
2019
2018
2017
포럼
연구모임
과신뷰
월간 과신뷰
과신대 소식
과신대 사람들 (인터뷰)
과신대 칼럼
과신책
과신Q
Biologos 자료
북클럽
북클럽 안내
북클럽 이야기
과신Talk
미디어
공개 영상
정회원 전용 영상
카드뉴스
후원 안내
Login
Register
site search
사이트 로고
HOME
과신대 소개
비전
섬기는 사람들
프로그램 안내
오시는 길
교육
기초과정
핵심과정
중급과정
교사모임 - 청소년 캠프
연구
콜로퀴움
2020
2019
2018
2017
포럼
연구모임
과신뷰
월간 과신뷰
과신대 소식
과신대 사람들 (인터뷰)
과신대 칼럼
과신책
과신Q
Biologos 자료
북클럽
북클럽 안내
북클럽 이야기
과신Talk
미디어
공개 영상
정회원 전용 영상
카드뉴스
후원 안내
로그인
회원가입
site search
MENU
과학과 신학의 대화
site search
HOME
과신대 소개
교육
연구
과신뷰
북클럽
미디어
후원 안내
2019 콜로퀴움
13
글쓰기
검색
공지
18회 콜로퀴움
<창조설 논쟁(creationism)을 넘어 창조론(the doctrine of creation)으로>을 듣고
김정형 교수의 <창조설 논쟁(creationism)을 넘어 창조론(the doctrine of creation)으로>을 듣고 2019.12.23 제18회 과신대
0
0
관리자
2020-02-21
조회
189
공지
18회 콜로퀴움
"창조설을 넘어 창조론으로"
창조설(creationism)을 넘어 창조론(the doctrine of creation)으로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과학 시대를 맞이해 자신의 신앙이 무너질까 걱정하고 있습니다.
0
0
관리자
2019-11-20
조회
169
공지
17회 콜로퀴움
바울의 아담 해석, 어떻게 해야 할까?
제17회 과신대 콜로퀴움 "바울의 아담 해석"을 듣고 요약정리: 최경환 '바울의 아담 해석'이라는 주제는 신약학, 그중에서도 바울신학에서는 그
0
0
관리자
2019-11-20
조회
138
공지
17회 콜로퀴움
바울의 아담 해석: 죄의 기원에 대한 신약의 목소리
바울의 아담 해석 : 죄의 기원에 대한 신약의 목소리 아담의 역사성 논쟁에서 빠짐없이 제기되는 질문은 바로 신약성서에서는 아담을 역사적인 인물로 생각했다는 것입니다. 특별히 바
0
0
관리자
2019-11-20
조회
137
공지
16회 콜로퀴움
신앙의 경줄과 위줄 찾기: 페미니즘의 시각에서
신앙의 경줄과 위줄 찾기: 페미니즘의 시각에서 한국사회는 최근 페미니즘이라는 새로운 문화를 받아들이는 과도기에 있습니다. 그런데 한국교회와 기독교는 여전히 페미니즘을 두렵고
0
0
관리자
2019-10-07
조회
109
공지
15회 콜로퀴움
'죄의 기원과 인류의 타락' 강의 요약
지난 7월 1일 과신대 콜로퀴엄에서 김구원 교수님께서 강연하신 내용을 과신대 정회원이신 송윤강님께서 정리해주셨습니다. 그 내용을 공유합니다. (* 출처: 페이스북 '과학과
0
0
관리자
2019-10-07
조회
111
공지
15회 콜로퀴움
죄의 기원과 인류의 타락
죄의 기원과 인류의 타락 고인류학, 진화생물학, 유전학 등의 발전은 성서해석과 전통적인 교리에 큰 도전을 주었다. 만약 인간이 진화했다면, 성서에서 말하는 인간의 죄와 타락은
0
0
관리자
2019-10-07
조회
101
공지
14회 콜로퀴움
(후기) 인간은 '창조'할 자격이 있을까?
제14회 과신대 콜로퀴움 요약 및 후기 "유전자 가위가 오려낸 과학과 신앙" 글_심기주 기자 사진_심왕찬 팀장 이번 제14회 콜로퀴움은 "유전자
0
0
관리자
2019-10-07
조회
89
공지
14회 콜로퀴움
유전자 가위가 오려낸 과학과 신앙
유전자 가위가 오려낸 과학과 신앙 멸종동물 복원, 난치병 치료, 맞춤아기 등 생명과학은 엄청난 속도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로 인한 윤리적, 신학적 문제도 만만치 않습
0
0
관리자
2019-10-07
조회
117
공지
13회 콜로퀴움
(후기) 삼위일체 창조자와 그의 피조세계로서의 세계
이번 13회 콜로퀴움은 ‘판넨베르크가 들려주는 창조 이야기’라는 주제로 더처치 교회비전센터에서 지난 3월 18일에 진행되었다. 발표자는 숭실대 기독교학과의 이
0
0
관리자
2019-10-07
조회
106
공지
13회 콜로퀴움
대담 내용 정리
* 3월 18일에 진행된 제13회 과신대 콜로퀴움은 "판넨베르크가 들려주는 창조 이야기"라는 제목으로 숭실대학교 기독교학과 이용주 교수님께서 강의해 주셨습니
0
0
관리자
2019-10-07
조회
109
공지
13회 콜로퀴움
판넨베르크에게 드리는 질문 4가지
지난 월요일에는 과신대 콜로퀴움을 잘 마쳤습니다. 20세기를 대표하는 독일의 조직신학자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의 삼위일체론과 창조론을 소개받는 시간이었습니다. 어려운 주제임에도
0
0
관리자
2019-10-07
조회
108
Previous
1
2
Next